2023. 8. 23. 11:33ㆍ오류노트/웹
윈도우 서버 tomcat과 oracle로 서버를 구동해서 사용하는 중 화면 보호기가
뜨면 웹페이지 접근이 느려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러나 확인을 할려고 화면보호기를 끄면 다시 빨라졌다.
이후에 화면보호기 시간을 늘렸을때도 특정 요일에 동작이 없으면 느려지고
마우스를 움직이거나 키보드를 누르는등 액션을 취하면 빨라지는 현상을 확인했다.
(특정 요일에 cpu가 튀는 현상이 발생)
모니터링 결과 원인은 디스크 조각모음 때문이었다.
예약 설정이 되어있어서
특정 요일에 동작하고 액션이 없을시 백프로세스로 자동으로 동작하는 듯 했다.
컴퓨터가 안좋아서 발생한 현상 같다.(
디스크 조각모음하면서 cpu 사용률을 점유해
톰캣 우선순위가 밀린 현상
)
디스크 조각모음을 사용 안할것이기 때문에 제거 해준다.
(
디스크 조각모음은 ssd일 경우 필요 없다. (
* ssd는 전기신호로 찾기 때문에
참고: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ssd-hard-drive/
SSD와 HDD 비교 -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간의 차이점 - AWS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는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입니다. SSD는 플래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HDD는 자기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SSD는 실리
aws.amazon.com
)
디스크 조각모음이란
hdd일 경우에 턴테이블처럼 내부에서 하드 디스크가 돌아가면서 데이터를 읽기,쓰기 하는데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들어가있지 않을 경우
(*단편화) ( 단편화(斷片化, fragmentation)는 기억 장치의 빈 공간 또는 자료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뉘는 현상을 말한다. )
순차적으로 읽어서 자료를 찾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이를 정렬해주는 작업이라고 이해하였다.
참고: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D%8E%B8%ED%99%94
단편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ko.wikipedia.org
참고: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D%8E%B8%ED%99%94_%EC%A0%9C%EA%B1%B0
단편화 제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각이 난 다음 이러한 파편을 제거하는 방식을 시각화한 모습 컴퓨터 시스템을 관리하는 환경에서 단편화 제거(문화어: 디스크최량화, 쪼각모음)는 기억 장치
ko.wikipedia.org
)
cmd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시킨 후
중지-> sc stop "defragsvc"
삭제-> sc delete "defragsvc"
조각모음을 삭제해주니 cpu 튀는 현상이 사라졌다.
'오류노트 >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JAVA] 맥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첨부파일 한글 깨짐 현상 (0) | 2024.04.02 |
---|---|
[오류노트] PatternSyntaxException: UnExpected internal error near index 1 (0) | 2023.09.18 |
Microsoft Edge 에서 파일 다운로드 시 늦게 동작하는 현상(Loading bar 또는 알림창이 늦게 뜨는현상) (0) | 2023.08.23 |